주식용어 PER?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목차
PER은 주가와 주당순이익을 비교하는 시장가치 비율이라고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인가 싶습니다.
단어 하나하나 파 해쳐서 알아보겠습니다.
주가
주가는 주식의 시장 가격입니다. 주가가 결정되는 요소로는 상당히 많지만 우선 오늘은 PER을 알기위해 주가가 무엇인지만 알고 가겠습니다.
주당순이익
말 그대로 주당 순이익 이기때문에 해당하는 분기의 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 해당 분기 순이익 / 주식수
이 두 단어가 무엇을 뜻하는지는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도 PER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PER = Price Earning Ratio 즉,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입니다.
단순하게 말하면 주가가 1주당 당기순이익의 몇 배인가를 뜻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1주 가격이 20,000원이라 하겠습니다. 그리고 1 주당 당기순이익이 2000원이라 하면
PER은 10이 됩니다.
그럼 이 PER의 수치가 뜻하는 바가 무엇일까요?
PER이 높다는 것은 고평가 돼 있다는 뜻입니다. 즉 1주당 당기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은 것입니다.
PER이 낮다는 것은 저평가돼 있다는 뜻입니다. 즉 1주당 당기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은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주식시장의 여러 기업들의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중요한 것은 상장된 기업의 주가를 다른 기업과 상대적으로 파악하는 것입니다.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이더라도 속 빈 강정일 수 있고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이지만 속이 꽉 찬 강정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PER이 큰 역할을 해줍니다.
기업 분류군에 따라 다르고 절대적 기준은 없지만 보통 높고 낮음의 기준은 10으로 통용됩니다.
그런데 무작정 PER 높다고 해서 고평가 돼있으니 주가가 내려가겠다고 판단하면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래가 촉망되는 기술을 지닌 기업의 경우 고평가가 말 그대로 고평가인 경우입니다.
사실 까 봐야 아는 것이지만 미래 첨단기술을 지닌 기업의 경우는 PER이 높은 것을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도 되겠습니다.
PER이 낮은 경우도 저평가가 돼있다고 100% 올라가지 않습니다. 주가가 낮으면서 주당순이익이 평균 수준인 경우에 그렇습니다. 주당 순이익이 높은 것인지 낮은 것인지는 근 몇 년간의 그래프로 확인하시거나 비슷한 시가총액의 같은 분류군에 속한 다른 기업과의 비교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PER이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결국 정세를 파악하고 기업의 속사정을 아는 것이 가장 좋은 투자로 이끌어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주식을 매수, 매도하실 때 PER 개념을 활용하여 이 기업의 주가가 속 빈 강정인지 속이 꽉 찬 강정인지 파악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BR, 주식 필승 개념 (0) | 2022.11.06 |
---|---|
ROE, 주식 필승 개념 (0) | 2022.11.06 |
키움증권 영웅문 다운로드 및 설치(영웅문 HTS, 키움증권 영웅문4, 영웅문 글로벌, 영웅문EASY, 번개4) (0) | 2022.11.03 |
돈 벌어다 주는 마인드셋, 모든것의 기초 (0) | 2022.11.02 |
지금 시기에 필수적인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 (0) | 2022.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