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ROE, 주식 필승 개념
잡학사전 햄버거 메뉴

목차

    반응형

     

    워런 버핏도 주식을 매수하기 전에 반드시 짚고 넘어간다는 ROE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이해하기 쉽도록 그리고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정리해봤습니다.

     

    ROE = (당기순이익 / 자본총액) × 100

     

    ( Return On Equity )

     

    먼저 공식은 위와 같습니다. 이제 단어하나하나 그리고 이게 도대체 무슨 의미인가 살펴보겠습니다.

     

    당기 순이익

     

    당기순이익은 해당분기 매출액이 아니라 정말 그 기업의 순수한 이익을 말합니다.

    당기 순이익은 대부분 다들 아실 겁니다. 그럼 이제 모호한 개념인 자본총액이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본총액

     

    간단히 말씀드리먄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이 자본총액입니다. 즉 자산에는 부채까지 포함이 되지만 자본에는 포함이 되지 않습니다.

     

    즉 한 기업의 외상, 미지급금 등 순수 기업소유의 돈이 아니라면 그것은 자본총액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자본은 현금 뿐만 아니라 그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설비, 예금, 건물 등도 포함이 됩니다.

     

    그럼 다시 돌아와서 ROE를 살펴보면 당기순이익을 자본총액으로 나눈 것입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건 뭘까요?

     

     

    Return On Equity

     

    단어 의미를 파 해쳐 보면 Return On Equity. 즉,  지분 회수율입니다. 이제 ( 당기순이익 / 자본총액 )의 의미가 이해가 가실거같습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자본으로 벌어들인 순이익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자본총액이 1억 인 회사가 당기순이익이 5천만 원 이라 하면 ROE는 50% 가 됩니다.

    다음 해에도 50%를 유지하려면 당기순이익은 7500만 원이 돼야 하고 그다음 해의 자본은 2억 2500만 원이 됩니다. 이렇게 ROE는 회사의 자본총액이 복리처럼 성장하는 지표가 되므로 성장성을 엿볼 수 있는 개념입니다.

     

     

     

    당연한 말일 수 있지만 최소 시중금리보다는 회사의 ROE가 높아야 투자 가치가 있습니다. 시중 금리보다 ROE 가 낮다면 회사에 투자를 하기보다 예금을 하는 것이 더욱 안정성 있고 수익이 높기 때문입니다. 

    워런 버핏의 말을 빌리자면 ROE가 근 3년 동안 15%가 넘는 회사에 투자가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기본적인 기준은 시중금리보다 높아야 하고 그 위로부터는 개개인의 판단에 달렸다고 생각합니다.

     

    주식은 개인적으로 아는 만큼 수익을 얻을 확률을 높인다고 생각합니다. 주위의 말을 멀리하고 꾸준한 공부를 통해 본인만의 투자 철학을 만드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위쪽 화살표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하트)과 댓글을 부탁드려요.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