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주식용어 PER?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잡학사전 햄버거 메뉴

목차

    반응형

     

    PER은 주가와 주당순이익을 비교하는 시장가치 비율이라고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인가 싶습니다.

    단어 하나하나 파 해쳐서 알아보겠습니다.

     

     

     

    주가

     

    주가는 주식의 시장 가격입니다. 주가가 결정되는 요소로는 상당히 많지만 우선 오늘은 PER을 알기위해 주가가 무엇인지만 알고 가겠습니다. 

     

     

     

     

    주당순이익

     

    말 그대로 주당 순이익 이기때문에 해당하는 분기의 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 해당 분기 순이익 / 주식수

     

    이 두 단어가 무엇을 뜻하는지는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도 PER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PER = Price Earning Ratio 즉,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입니다.

    단순하게 말하면 주가가 1주당 당기순이익의 몇 배인가를 뜻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1주 가격이 20,000원이라 하겠습니다. 그리고 1 주당 당기순이익이 2000원이라 하면

    PER은 10이 됩니다. 

     

     

     

    그럼 이 PER의 수치가 뜻하는 바가 무엇일까요?

     

    PER이 높다는 것은 고평가 돼 있다는 뜻입니다. 즉 1주당 당기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은 것입니다. 

    PER이 낮다는 것은 저평가돼 있다는 뜻입니다. 즉 1주당 당기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은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주식시장의 여러 기업들의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중요한 것은 상장된 기업의 주가를 다른 기업과 상대적으로 파악하는 것입니다.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이더라도 속 빈 강정일 수 있고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이지만 속이 꽉 찬 강정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PER이 큰 역할을 해줍니다.

     

    기업 분류군에 따라 다르고 절대적 기준은 없지만 보통 높고 낮음의 기준은 10으로 통용됩니다.

     

     

     

     

    그런데 무작정 PER 높다고 해서 고평가 돼있으니 주가가 내려가겠다고 판단하면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래가 촉망되는 기술을 지닌 기업의 경우 고평가가 말 그대로 고평가인 경우입니다.

    사실 까 봐야 아는 것이지만 미래 첨단기술을 지닌 기업의 경우는 PER이 높은 것을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도 되겠습니다. 

     

    PER이 낮은 경우도 저평가가 돼있다고 100% 올라가지 않습니다. 주가가 낮으면서 주당순이익이 평균 수준인 경우에 그렇습니다. 주당 순이익이 높은 것인지 낮은 것인지는 근 몇 년간의 그래프로 확인하시거나 비슷한 시가총액의 같은 분류군에 속한 다른 기업과의 비교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PER이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결국 정세를 파악하고 기업의 속사정을 아는 것이 가장 좋은 투자로 이끌어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주식을 매수, 매도하실 때 PER 개념을 활용하여 이 기업의 주가가 속 빈 강정인지 속이 꽉 찬 강정인지 파악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위쪽 화살표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하트)과 댓글을 부탁드려요.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