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비만 기준, 비만 지수 알아보기
잡학사전 햄버거 메뉴
반응형

비만이란 체내에 지방질이 정상보다 많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러나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간다고 해서 비만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이는 정의가 변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건강을 위해 비만에 대해 오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비만 기준
비만-기준



비만 기준



예를 들어 운동선수들은 표준 체중보다 많이 나가지만 비만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는 근육이 많아서 지방이 적기 때문입니다.

 

비만을 판단하는 기준은 지방의 총 무게에 달려 있습니다. 남성은 자신의 체중의 25% 이상, 여성은 30% 이상의 지방이 축적되어 있으면 비만으로 분류됩니다.

그러므로 몸무게는 정상이지만 운동을 너무 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근육 양이 적은 사람은 지방 비율이 체중의 25%나 30%를 넘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마른 비만이라고 부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대한비만학회에서는 체질량지수(BMI)를 기준으로 과체중을 23 이상, 비만을 25 이상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을 채택한 이유는 BMI가 23~27 사이에서 비만 관련 질환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시아 지역에서는 각각 다른 비만 기준이 적용되어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은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바뀔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재평가가 필요합니다.

 

 


비만 체질량 지수 BMI

 

체질량지수(BMI)는 인간의 체중과 키를 이용하여 비만 여부를 판단하는 지수입니다. BMI는 체중(kg)을 키의 제곱(m²)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또한, 표준 체중은 (키 - 100) × 0.9로 구할 수 있습니다.

BMI 기준으로는 비만 여부를 판단할 수 있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며, 나이와 성별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해당 연령대에 따른 지방의 비율을 기준으로 5% 이상 초과한 상태를 비만으로 판단합니다. 또한, 체지방률은 나이가 들면서 높아지다가 노년기에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젊은 남성은 일반적으로 체지방률이 15% 정도이므로 20%를 초과하면 비만으로 판단합니다. 

 

반면, 중년 남성의 경우 평균 체지방률이 25% 정도이므로 30%를 넘으면 비만으로 판단합니다. 17~30세 사이의 젊은 여성은 체지방률이 25%를 넘으면 비만으로 판단하며, 31~50세 사이의 여성은 30%를 넘으면 비만으로 판단합니다.

2013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국민의 비만율은 32.5%였습니다. 이 조사는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남성 비만율은 35.6%, 여성 비만율은 26.5%였습니다. 

 

남성 비만율이 여성보다 9.1%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최근 10년간의 비만율 통계를 살펴보면, 1998년에는 25.8%였으며, 2005년에는 31.4%, 2010년에는 31.4%였습니다.

국립암센터는 비만을 매우 중대한 질병으로 보고, 해마다 정밀 조사를 실시하여 비만율을 자세하게 발표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풍 원인 증상  (0) 2023.03.09
족저 근막염 알아보기  (0) 2023.03.07
늦잠 원인 및 해결방법  (0) 2023.03.04
공항장애 원인 증상 등 알아보기  (0) 2023.03.01
이석증 원인 증상 등 알아보기  (0) 2023.02.28
댓글
위쪽 화살표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하트)과 댓글을 부탁드려요.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