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진세 전기요금 알아보기
목차
전기요금 누진세는 전기 사용량에 따라 요금 부과의 수준을 다르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가정에서 사용한 전기의 총량을 1~6단계로 구분하며, 각 단계마다 1㎾h당 부과되는 요금이 다르게 책정됩니다. 누진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단계 구간에 위치한 가정에서는 1㎾h당 60.7원의 요금을 지불하게 되지만, 6단계 구간에 위치한 가정에서는 1㎾h당 709.5원의 요금을 지불하게 됩니다. 이는 무려 11.7배의 차이를 보입니다.
누진세 특징
전기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요금이 증가하는 구조로, 높은 구간에서 요금 폭탄을 맞는 가정도 많습니다. 특히, 2016년 여름에는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해 가정의 전기 사용량이 최고조에 이르렀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가정에서 요금 폭탄을 경험하게 되며, 이에 대한 불만과 누진세의 부당함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전기요금 누진세는 전기 사용량에 따라 차등적인 요금을 부과하여 전기 사용을 억제하는 시스템입니다.
만약 전기요금이 일정하게 책정된다면,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전력 수급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누진세를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재 누진세율 구간에서 차이가 너무 크다는 점(1단계와 6단계 사이의 11.7배 차이), 가정용 전기요금에 대해서만 누진세를 적용하고 산업용 전기요금에는 누진세를 적용하지 않는 점 등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누진세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한국전력은 전기요금 누진세 개편을 약속하고 있습니다. 개편의 방향은 누진세 구간의 완화와 산업용 전기요금에도 누진세 적용 등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전력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누진세 개편 방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소비자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전기요금 누진세에 대한 불만을 해소하고, 전력 수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누진세 전기요금 계산
주택에서 사용하는 저압 전력의 전기요금
주택에서 사용하는 저압 전력의 전기요금은 전력 사용량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 부과됩니다.
기본요금 누진세는 월 사용량이 200 kWh 이하인 경우 910원, 201~450 kWh인 경우 1,600원, 400 kWh를 초과할 경우 7,300원이며, 여름철(78월)에는 월 사용량이 300 kWh 이하인 경우 910원, 301~450 kWh인 경우 1,600원, 450 kWh 초과 시 7,300원으로 책정됩니다.
전력량 요금 누진세는 월 사용량이 200kWh 이하인 경우 93.3원, 201~450 kWh인 경우 187.9원, 400 kWh를 초과할 경우 280.6원이며, 여름철(78월)에는 월 사용량이 300 kWh 이하인 경우 93.3원, 301~450 kWh인 경우 187.9원, 450 kWh 초과 시 280.6원으로 적용됩니다.
이처럼 전력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누진세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이는 전기 사용을 절약하도록 유도하고 전력 수급 안정화를 위한 목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주택용 고압 전력의 전기요금
주택용 고압 전력의 전기요금은 전력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과됩니다.
기본요금은 전력량에 상관없이 부과되며, 200kWh 이하 사용 시 730원, 201~450 kWh 사용 시 1,260원, 400 kWh를 초과할 경우 6,060원이며 여름철(78월)에는 300 kWh 이하 사용 시 730원, 301~450 kWh 사용 시 1,260원, 450 kWh 초과 시 6,060원입니다.
전력량 요금은 전기 사용량에 따라 구간별로 다르게 부과됩니다.
전력량이 200kWh 이하일 경우 78.3원, 201450 kWh 사용 시 147.3원, 400 kWh를 초과할 경우 215.6원이며 여름철(78월)에는 300 kWh 이하 사용 시 78.3원, 301~450 kWh 사용 시 147.3원, 450 kWh 초과 시 215.6원으로 책정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손의료보험 알아보기 (0) | 2023.03.13 |
---|---|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0) | 2023.03.09 |
주휴수당 알아보기 (0) | 2023.03.05 |
개인회생제도 알아보기 (0) | 2023.03.03 |
양도 소득세 알아보기 (0) | 2023.03.02 |